Picture of 허일구
허일구

말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우리가 쓰고 있는 말의 근원이 궁금할 때는 옛말이나 어원을 찾아 그 뜻을 알아본다. 그러면 그 옛말이나 어원을 이루는 말들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그러나 말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알 수 있는 문헌이나 참고할 자료가 없다.

말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를 굳이 추측해 보면 옛 사람들이 그냥, 어쩌다 쓰던 말들이 다른 사람들이 따라하게 되고 그 말들이 점점 많아져서 말이 됐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말에는 그냥, 어쩌다 만들었다고 생각하기에는 의문이 드는 부분이 있다. 우리말의 홀소리에서 ‘아’는 ‘어’보다 작은 뜻을 나타내고 ‘오’는 ‘우’보다 작은 뜻을 나타낸다. 특히 의성어 의태어에서 잘 나타나있다. 만약 말이 그냥 어쩌다 무턱대고 만들어졌다면 ‘아’가 ‘어’보다 큰 뜻을 나타내는 말도 있고 ‘오’가 ‘우’보다 큰 뜻을 나타내는 말도 있어 뒤죽박죽됐을 텐데 우리말에서는 예외가 없다. 우리말에서 ‘아’는 사물이나 생물의 작은 상태를 나타내는데 쓰였다. 강아지, 송아지, 병아리, 항아리, 씨앗, 알, 아기, 아이 따위에서 볼 수 있다. 여기에서 ‘아’는 작은 상태의 사물 또는 어떤 생물이 성장하기 이전 처음 상태의 사물이라는 뜻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상대적으로 ‘어’는 큰 상태의 사물 또는 성장한 상태의 사물이라는 뜻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사물이나 생물이 커지거나 성장하려면 다른 사물이나 물질을 흡수하거나 합하여 져야한다. ‘어’는 사물이나 생물이 다른 사물이나 물질을 흡수하거나 합해지는 상태 또는 합해진 상태의 뜻을 생각해볼 수 있다.

몇 몇 낱말의 뜻으로 낱소리의 뜻을 판단할 수는 없다. 낱소리의 뜻을 제대로 알아보려면 그 낱소리가 쓰이는 모든 우리말의 낱말에서 그 뜻을 찾아봐야 한다. ‘아’의 뜻을 찾으려면 ‘아’가 쓰여 지는 순우리말을 모두 모아 ‘아’가 나티내는 공통의 뜻이 있는지 찾아보고 공통의 뜻이 있다면 그 뜻이 낱소리 ‘아’의 뜻이라 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우리말의 홀소리와 닿소리의 뜻을 찾아볼 수 있다.

우리말 낱소리의 뜻을 찾으려면 말이 시작됐을 그 때의 옛말에서 그 뜻을 찾아야 한다. 말은 세월이 흐르고 시대가 바뀌면서 끊임없이 변한다. 세종이 훈민정음을 집대성할 때의 말만 하더라도 다른 나라말처럼 알아보기 어려운데 수천 년일지 수 만년일지 아니면 그보다 더 오래된 옛말을 알 수는 없다. 그러나 우리말에는 말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의 흔적을 알 수 있는 말들이 있을 것이다 현재 우리가 쓰는 순우리말에는 처음의 옛말이 변함없이 그대로 쓰이는 말도 있을 것이며 부분적으로 변하여 그 흔적만 남아있는 말도 있을 것이다. 순우리말이 처음의 옛말과 얼마나 어떻게 다른지 알 수는 없다. 그러나 세종이 훈민정음을 정리할 때의 옛말이 오늘날의 말로 변하는 과정에서 우리말 변화의 단면을 볼 수 있다.

우리말의 처음의 옛말은 알 수 없지만 오늘날 쓰고 있는 순우리말과 세종 때부터 내려온 옛말을 참고로 하여 우리말의 홀소리와 닿소리의 뜻을 살펴보고 그 뜻으로 닿소리와 홀소리가 합쳐진 낱소리의 뜻을 살펴보고 그 낱소리의 뜻으로 낱말의 뜻을 살펴보려 한다.

이미지출처 : 다온폰트

마: 사물의 성질이나 형태

1, 2 ,3 ,4에서 마르다는 사물에서나 다른 성질을 가진 사물이나 물질이 빠져나가거나 분리되어 그 사물만의 성질이나 본성물질이 점점 드러나는 상태를 나타낸다.

바르다

1-1.풀칠한 종이나 헝겊 따위를 다른 물건에 골고루 붙이다

1-2.물이나 풀, 약, 화장품 따위를 물체의 표면에 문질러 뭍히다

2-1.껍질을 벗기어 속에 들어있는 알맹이를 집어내다

2-2.뼈다귀에 붙은 살을 걷거나 가시 따위를 추려내다.

3-1.겉으로 보기에 비뚤어지거나 굽은 데가 없다.

3-2:그늘이 지지 아니하고 햇볕이 잘 들다.

바르다=바+ㄹ+으+다

바:사물의 성질과 형태를 이루는 물질

1-1,1-2,3-1에서

바르다=바 +바 +바 +. . . . . . . . +바

으 으 으 으 에 의하여 합쳐지면 에 의하여 합쳐진 것과는 달리 쉽게 변하거나 분리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다.

2-1, 2-2에서의 사물바+바 또는 바+다 상태이다. 바+바일 때, 바르다=가-바-바-. . . . . . -바 바+다일 때, 바르다=가-다-다-. . . . . . -다 를 가진 사물이 다른 사물이나 물질이 모여 함께 할 경우에는 성질이 다른 를 분리시켜야 하고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본래의 성질이나 형태가 점점 뚜렷이 드러나게 된다.

3-2에서

바르다=바+다+다+. . , , . . +다

바르다는 사물의 성질이나 형태를 나타내는 부분에 물질(에너지물질)이 연속적으로 들어가 부분이 뚜렷이 드러나는 상태를 나타낸다.

우리말에서는 같은 변화의 연속적인 반복을 나타낸다. 사물이 다른 사물이나 물질과 합쳐지거나 분리되는 상태가 연속적으로 반복해서 일어나면 가 쓰여진다. 가 쓰이는 낱말에서는 연속적인 반복이 이루어지는 상태가 사물인지 물질인지 또는 합쳐질 때와 분리될 때를 구분하여 보아야 한다.

사르다

1-1.불에 태워 없애다.

1-2.어떤 것을 남김없이 없애 버리다.

2.키 따위로 곡식을 까불러 쓸모없는 것을 떨어버리다.

사르다=사+ㄹ+으+다

사: 사물이 다른 사물이나 물질과 합쳐지거나 분리되어 자신의 성질이나 형태나 상태를 완전한 상태 또는 안정된 상태를 이루려는 성질이다.

1-1에서 사르다=가+다+다+. . . . . . +다=살 사르다는 사물이 물질이 들어와 사물이 점점 최상의상태가 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1-1, 2에서 사르다=가-다-다- . . . . . . -다=살 사르다는 사물이 자신의 성질이나 형태가 다른 사물이나 물질을 내보내어 자신의 성질이나 형태가 점점 드러나게 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자르다

1-1.동강을 내거나 끊어 내다.

2.잘록할 정도로 단단히 죄어 매다.

자르다=자+ㄹ+으+다

자: 사물속의 입자들이 서로 붙어 크기가 작아지고 움직임이 적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1-1은 하나의 사물이 나누어져 작아지는 상태를 나타낸다.

2는 사물을 죄어 매어 움직임이 적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ㅡ브다, ㅡ쁘다, ㅡ프다

우리말에는 “ㅡㅂ다”를 쓰는 낱말이 많다, ㅡ스럽다, ㅡ 답다 따위로 쓰이며 주로 비유적인 낱말을 이루는데 쓰인다. 비유적인 말은 구체적인 사물이나 사실을 나타내지 아니하고 느낌을 나타낸다. 우리말에서 형용사로 쓰이는 “ㅡㅂ다”는 모두 느낌을 나타낸다. 그리고 “-쁘다” “ㅡ프다”는 “ㅡ브다” 의 강한 상태의 느낌을 나타낸다.

덥다

1.기온이 높거나 기타의 이유로 느끼는 기운이 뜨겁다.

2.사물에 온도가 높다

덥다 = 더 +ㅂ + 다

더:”“에 다른 ““가 더 있는 상태

ㅂ다: 느낌

사물은 자신의 상태를 유지하는데 적정한 ““가 있다. ““는 열 물질을 나타내므로 덥다는 사물이 상태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열 물질 보다 열 물질이 더 많은 상태를 나타낸다.

춥다

1.기온이 낮거나 기타의 이유로 몸에 느끼는 기운이 차다

춥다 = 추 +ㅂ +다

추: 사물에 물질이 꽉 차거나 압축되어 물질이 빠져나가 없는 상태,

ㅂ다: 느낌

춥다는 사물에 물질이 꽉 차거나 압축되어 의 근원 물질인 열이나 에너지가 없는 상태의 느낌을 나타낸다.

따갑다

1.살갗이 따끔거릴 만큼 열이 썩 높다.

2.눈길이나 충고 따위가 매섭고 날카롭다.

3.살을 찌르는 듯이 아픈 느낌이 있다.

따갑다 = 따 +가 + ㅂ다

따: 하나의 사물에서 일부를 떼어 낼 수 있는 강한 힘 또는 에너지를 나타낸다.

가: 하나의 사물

ㅂ다: 느낌

따갑다는 사물에 힘이나 자극을 받아 사물의 일부분이 떨어져 나가는 느낌을 나타낸다.

가렵다

1.피부에 긁고 싶은 느낌이 있다.

가렵다 = 가 + 리 + 어 + ㅂ 다.

가렵다는 사물의 일부분이 가려지는 느낌을 나타낸다.

사람이 가려울 때 긁어주면 다 가려지고 그러면 시원해진다.

쉽다

1.하기가 까다롭거나 힘들지 않다.

2.예사롭거나 흔하다.

3.가능성이 많다.

쉽다 = 수 + ㅣ + ㅂ 다

수: 사물이 다른 사물이나 물질과 합쳐지거나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 지는 상태.

이: 완료된 상태나 사물

ㅂ다: 느낌

쉽다는 어떤 일을 하는데 따로 힘을 더 들이지 않아도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다.

어렵다

1.하기가 까다로워 힘에 겹다.

2.겪게 되는 곤란이나 시련이 많다.

3.말이나 글이 이해하기가 까다롭다.

4.가난하여 살아가기가 고생스럽다.

5.성미가 맞추기 힘들만큼 까다롭다.

6.가능성이 거의 없다.

어렵다 = 어 + 려 + ㅂ다

= 어리어 + ㅂ다

어: 사물이 다른 사물과 함께 하여 자신의 성질이나 힘을 제대로 나타 낼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낸다. (피동의 상태)

리어: 반복, 계속

ㅂ다: 느낌

어렵다는 어떤 일을 하는데 다른 사물에 의하여 자신의 힘이나 능력을 드러낼 수 없게 되거나 힘이나 능력이 부족하여 일을 제대로 할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낸다.

가볍다 (옛<가비얍다)

가비얍다=가+비(바+이)+야+브다

가: 하나의 사물 비(바+이): 사물에서 를 제외한 본성 물질부분인 만을 나타낸다.야: 확산된 상태

브다: 느낌 는 사물의 본성물질부분으로 사물이 중력의 영향을 받는 부분은 물질 부분이며 물질의 에너지물질은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사물에서 물질이 확산되면 밀도가 낮아져 중력의 적게 받게 된다.

무겁다(옛<므겁다)

므겁다=므+거+브다

므: 사물의 본성물질이 남는 상태가 되어 성질이 강해진 상태 거: 사물 브다: 느낌 사물의 본성물질이 가득한 상태보다 더 많아지면 상태가 되고 상태의 형태와 성질을라고 하였다. 사물에서 중력의 영향을 받는 부분은 바부분이며 상태의 성질인 보다 중력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상태를 나타낸다.

<계속>

허일구
Latest posts by 허일구 (see all)

Share:

Facebook
Twi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