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에서 ‘히까지
말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우리가 쓰고 있는 말의 근원이 궁금할 때는 옛말이나 어원을 찾아 그 뜻을 알아본다. 그러면 그 옛말이나 어원을 이루는 말들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그러나 말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알 수 있는 문헌이나 참고할 자료가 없다.
말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를 굳이 추측해 보면 옛 사람들이 그냥, 어쩌다 쓰던 말들이 다른 사람들이 따라하게 되고 그 말들이 점점 많아져서 말이 됐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말에는 그냥, 어쩌다 만들었다고 생각하기에는 의문이 드는 부분이 있다. 우리말의 홀소리에서 ‘아’는 ‘어’보다 작은 뜻을 나타내고 ‘오’는 ‘우’보다 작은 뜻을 나타낸다. 특히 의성어 의태어에서 잘 나타나있다. 만약 말이 그냥 어쩌다 무턱대고 만들어졌다면 ‘아’가 ‘어’보다 큰 뜻을 나타내는 말도 있고 ‘오’가 ‘우’보다 큰 뜻을 나타내는 말도 있어 뒤죽박죽됐을 텐데 우리말에서는 예외가 없다. 우리말에서 ‘아’는 사물이나 생물의 작은 상태를 나타내는데 쓰였다. 강아지, 송아지, 병아리, 항아리, 씨앗, 알, 아기, 아이 따위에서 볼 수 있다. 여기에서 ‘아’는 작은 상태의 사물 또는 어떤 생물이 성장하기 이전 처음 상태의 사물이라는 뜻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상대적으로 ‘어’는 큰 상태의 사물 또는 성장한 상태의 사물이라는 뜻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사물이나 생물이 커지거나 성장하려면 다른 사물이나 물질을 흡수하거나 합하여 져야한다. ‘어’는 사물이나 생물이 다른 사물이나 물질을 흡수하거나 합해지는 상태 또는 합해진 상태의 뜻을 생각해볼 수 있다.
몇 몇 낱말의 뜻으로 낱소리의 뜻을 판단할 수는 없다. 낱소리의 뜻을 제대로 알아보려면 그 낱소리가 쓰이는 모든 우리말의 낱말에서 그 뜻을 찾아봐야 한다. ‘아’의 뜻을 찾으려면 ‘아’가 쓰여 지는 순우리말을 모두 모아 ‘아’가 나티내는 공통의 뜻이 있는지 찾아보고 공통의 뜻이 있다면 그 뜻이 낱소리 ‘아’의 뜻이라 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우리말의 홀소리와 닿소리의 뜻을 찾아볼 수 있다.
우리말 낱소리의 뜻을 찾으려면 말이 시작됐을 그 때의 옛말에서 그 뜻을 찾아야 한다. 말은 세월이 흐르고 시대가 바뀌면서 끊임없이 변한다. 세종이 훈민정음을 집대성할 때의 말만 하더라도 다른 나라말처럼 알아보기 어려운데 수천 년일지 수 만년일지 아니면 그보다 더 오래된 옛말을 알 수는 없다. 그러나 우리말에는 말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의 흔적을 알 수 있는 말들이 있을 것이다 현재 우리가 쓰는 순우리말에는 처음의 옛말이 변함없이 그대로 쓰이는 말도 있을 것이며 부분적으로 변하여 그 흔적만 남아있는 말도 있을 것이다. 순우리말이 처음의 옛말과 얼마나 어떻게 다른지 알 수는 없다. 그러나 세종이 훈민정음을 정리할 때의 옛말이 오늘날의 말로 변하는 과정에서 우리말 변화의 단면을 볼 수 있다.
우리말의 처음의 옛말은 알 수 없지만 오늘날 쓰고 있는 순우리말과 세종 때부터 내려온 옛말을 참고로 하여 우리말의 홀소리와 닿소리의 뜻을 살펴보고 그 뜻으로 닿소리와 홀소리가 합쳐진 낱소리의 뜻을 살펴보고 그 낱소리의 뜻으로 낱말의 뜻을 살펴보려 한다.

하
자연의 모든 사물 하나하나를 가라고 하였다. 가는 다른 사물이나 물질인 나를 만나 변화한다.
가가 나를 만나 사의 상태가 이루어지면 새로운 사물이 된다. 그리고 사를 이룬 새로운 상태에서 차, 카, 타, 파의 과정이 이루어지면 완전한 상태의 사물이 된다. 이렇게 이루어진 사물은 자신만의 형태와 성질을 갖게 되고 다른 힘에 의하여 쉽게 변하지 않는 사물이 된다.
차. 완전한 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이물질이나 빈틈이 없이 그 사물의 물질 만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카. 사물을 이루는 물질이 외부의 힘이나 이물질로부터 견딜 수 있으려면 단단 히 붙어 있는 상태가 되어야 한다.
타. 사물이 완전한 상태가 되려면 상태를 유지하고 성질을 드러낼 수 있는 충 분한 다가 있어야 한다.
파. 사물이 차, 카, 타의 상태가 되면 안정된 상태가 되고 그 사물은 자신 만의 성질이나 형태나 능력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씨 앗에서 싹이 나고, 잎이 피고, 꽃이 피고, 열매를 맺는다. 달걀에 서 병아리가 되고 닭이 된다.
우리말에서는 자연의 사물이나 물질이 서로 합쳐져 자신만의 형태나 성질이나 힘을 갖고 외부의 힘에 의하여 변형되거나 변화하지 않는 완전한 상태가 된 사물을 하라고 하였다.
하 상태의 사물이 밖으로 드러나게 되면 다른 사물과 구별되는 하나가 된다.
하는 자연 속에서 다시 가가되어 자연의 변화를 겪게 된다. 예를 들면 원자가 합쳐져 분자가 되고 분자가 합쳐져 무기물, 유기물이 된다. 그리고 단세포생물이 합쳐져 이세포 생물, 다세포 생물이 되고 자연의 모든 사물이 된다.
➀ 하는 다른 사물과 구별되는 상태의 사물이다.
하나, 함께, 하루, 한결
➁ 하는 하나의 사물이 이루어지는 상태 또는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 낸다.
하다, 하릴없다, 해치우다
➂ 하는 사물이 다른 사물이나 물질이 합쳐져 완성된 사물이므로 처음 의 사물보다 크기가 커지고 양이 많은 상태가 된다.
하다(많다), 하늘, 하염없다, 하품, 한가득, 한길, 할아버지, 함박, 해
➃ 하는 완전한 상태의 사물이므로 성질이 강하고 힘이 센 상태를 나 타낸다.
하비다, 한겨울, 한낮, 할퀴다, 함부로
➄ 하는 자연의 수많은 사물 속에서 단지 하나의 사물에 불과하다.
한낱, 한갓
허
허는 하가 다른 하와 함께하거나 하에 다가 들어가 크기가 커지거나 성질이 강해지는 상태를 나타낸다. 하는 그 자체로 완성되어 안정된 사물이므로 쉽게 변하거나 다른 사물과 합쳐지거나 섞이기 어렵다. 허는 다른 사물과 함께하여도 합쳐지지 못하고 따로 되는 상태를 된다.
➀ 허는 사물이 분리되기 쉬운 상태 또는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허물다, 헌데, 헐겁다, 헐다, 헝겊, 헤어지다, 헤프다, 헹구다
➁ 허는 사물과 사물이 서로 따로 된 상태에서 함께하게 되면 그 사 물의 성질이나 움직임이 안정되지 못한 상태가 된다.
허둥대다, 허우적거리다, 헤매다, 헷갈리다, 헝클다
➂ 허는 따로 되어 있는 상태의 사물은 서로 구별되어 살필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헤가르다, 헤아리다
➃ 허는 사물에 힘을 가하여 분리시키는 상태를 나타낸다.
헤젓다, 헤집다, 헤치다, 헐뜯다
➄ 허는 사물에서 일부분이 분리되면, 분리된 사물이 있던 자리가 빈 공간 이 된 상태를 나타낸다.
허깨비, 허룩하다, 허술하다, 허울, 허전하다, 허허벌판, 허황하다, 헐렁하다, 헐벗다
호
호는 하의 핵심부분 또는 본성물질부분을 나타낸다. 사물의 본성물질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다 물질 부분이 없어지면 본성물질부분이 드러나게 된다. 그리고 사물의 본성물질부분에 다가 들어가면 본성물질부분이 두드러져 나타나게 된다.
하 상태의 사물에서 다가 빠져나가 호 상태가 되면 크기가 작아지고, 힘이 줄어드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사물의 본성물질부분에 다가 들어가면 본성물질부분의 성질이 강해지고 힘이 세진 상태가 된다.
➀ 호는 하 상태의 사물에서 다가 빠져나가 본성물질부분만 남은 상태 또는 사물에서 다 물질이 부족한 상태를 나타낸다.
호듯하다, 호리하다, 호젓하다, 혼자, 홀로, 홀가분하다, 홑, 황, 횅 ➁ 호는 움직이는 상태의 사물에서 다(에너지물질)가 빠지면 움직임이 멈추거나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는 상태를 나타낸다.
회도리, 회오리, 회까닥
➂ 하는 완전한 상태 사물이다.. 호는 하 상태 사물의 핵심부분에 다가 더 들어가면 다가 남는 상태가 되고 남는 다에 의하여 본성물질부분 이 밖으로 나오게 되어 성질이나 힘이 밖으로 드러나는 상태가 된 다.
환하다, 활, 활짝, 활활, 횃불
후
후는 하에 다가 가득한 상태 또는 하가 여럿이 모여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후는 하보다 크기는 커지고 성질은 강해지고 힘이 세진 상태가 된다.
➀ 후는 크기가 커지거나 양이 많은 상태를 나타낸다.
후리후리하다, 훤칠하다
➁ 후는 힘이 센 상태를 나타낸다.
후다닥, 후려치다, 훌쩍, 훨씬
➂ 하는 다가 가득한 완전한 상태의 사물이다. 여기에 다가 더 들어가 후상태가 되면 겉 부분이 늘어나게 된다. 겉 부분 중에서 부드러운 부분이나 다에 영향을 많이 받는 부분이 많이 늘어나게 되고 사물 은 둥글게 휘는 모습이 된다.
휘다, 휘감다, 휘날리다, 휘늘어지다, 휘두르다, 휘날리다, 휘어잡 다, 휘젖다
➃ 어떤 사물이나 일을 한꺼번에 처리하려면 그 사물전체를 둥글게 감 싸서 처리 하여야하고 후는 그런 상태를 나타내는데 쓰인다.
훑다, 훔치다, 휩싸다, 휩쓸다
흐
흐는 후상태의 사물에 다가 더 들어간 상태를 나타낸다. 흐 상태가 되면 다가 남게 되고 겉 부분은 모두 늘어나게 되어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사물을 이루는 물질은 남는 다에 의하여 움직여 넓게 퍼지게 된다.
➀ 흐는 사물의 다가 남을 정도로 많은 상태를 나타낸다.
흐뭇하다, 흔하다, 흠뻑, 흠씬, 흥건하다, 흥겹다, 흥청거리다
➁ 흐는 사물 하에 다가 남게 되면 남는 다가 사물을 이루는 물질을 움직이고, 늘어나게 하고 퍼지게 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흐르다, 흐느끼다, 흐늘거리다, 흐트러지다, 흔들다, 흘리다, 흩다
➂ 흐는 사물을 이루는 물질이 넓게 퍼져 원래의 모습을 제대로 알 수가 없는 상태를 나타낸다.
흐리다, 흐무지다, 흐지부지
히
흐상태의 사물이 겉 부분이 늘어나지 않고 형태가 변하지 않으면 남는 다는 압축하여 밀도가 높고 단단한 상태로 변형시키게 된다.
히는 하상태의 사물에 남을 정도로 많은 다가 들어가 압축되어 단단하고 힘이 센 상태를 나타낸다. 히 상태가 되면 사물이 힘을 쓸 수 있게되고 다른 힘에 의하여 쉽게 변하지 않는 강한 상태가 된다.
➀ 히는 힘이 센 상태이므로 자신의 힘을 쓸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힘
➁ 히는 사물의 물질이 압축되어 크기가 작아진 상태를 나타낸다. 힐금, 힐끗
<계속>
- 뜻으로 본 우리말 11 - 2022-11-05
- 뜻으로 본 우리말 10 - 2022-09-23
- 뜻으로 본 우리말 9 - 2022-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