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cture of 허일구
허일구

‘하’에서 ‘히까지

말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우리가 쓰고 있는 말의 근원이 궁금할 때는 옛말이나 어원을 찾아 그 뜻을 알아본다. 그러면 그 옛말이나 어원을 이루는 말들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그러나 말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알 수 있는 문헌이나 참고할 자료가 없다.

말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를 굳이 추측해 보면 옛 사람들이 그냥, 어쩌다 쓰던 말들이 다른 사람들이 따라하게 되고 그 말들이 점점 많아져서 말이 됐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말에는 그냥, 어쩌다 만들었다고 생각하기에는 의문이 드는 부분이 있다. 우리말의 홀소리에서 ‘아’는 ‘어’보다 작은 뜻을 나타내고 ‘오’는 ‘우’보다 작은 뜻을 나타낸다. 특히 의성어 의태어에서 잘 나타나있다. 만약 말이 그냥 어쩌다 무턱대고 만들어졌다면 ‘아’가 ‘어’보다 큰 뜻을 나타내는 말도 있고 ‘오’가 ‘우’보다 큰 뜻을 나타내는 말도 있어 뒤죽박죽됐을 텐데 우리말에서는 예외가 없다. 우리말에서 ‘아’는 사물이나 생물의 작은 상태를 나타내는데 쓰였다. 강아지, 송아지, 병아리, 항아리, 씨앗, 알, 아기, 아이 따위에서 볼 수 있다. 여기에서 ‘아’는 작은 상태의 사물 또는 어떤 생물이 성장하기 이전 처음 상태의 사물이라는 뜻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상대적으로 ‘어’는 큰 상태의 사물 또는 성장한 상태의 사물이라는 뜻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사물이나 생물이 커지거나 성장하려면 다른 사물이나 물질을 흡수하거나 합하여 져야한다. ‘어’는 사물이나 생물이 다른 사물이나 물질을 흡수하거나 합해지는 상태 또는 합해진 상태의 뜻을 생각해볼 수 있다.

몇 몇 낱말의 뜻으로 낱소리의 뜻을 판단할 수는 없다. 낱소리의 뜻을 제대로 알아보려면 그 낱소리가 쓰이는 모든 우리말의 낱말에서 그 뜻을 찾아봐야 한다. ‘아’의 뜻을 찾으려면 ‘아’가 쓰여 지는 순우리말을 모두 모아 ‘아’가 나티내는 공통의 뜻이 있는지 찾아보고 공통의 뜻이 있다면 그 뜻이 낱소리 ‘아’의 뜻이라 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우리말의 홀소리와 닿소리의 뜻을 찾아볼 수 있다.

우리말 낱소리의 뜻을 찾으려면 말이 시작됐을 그 때의 옛말에서 그 뜻을 찾아야 한다. 말은 세월이 흐르고 시대가 바뀌면서 끊임없이 변한다. 세종이 훈민정음을 집대성할 때의 말만 하더라도 다른 나라말처럼 알아보기 어려운데 수천 년일지 수 만년일지 아니면 그보다 더 오래된 옛말을 알 수는 없다. 그러나 우리말에는 말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의 흔적을 알 수 있는 말들이 있을 것이다 현재 우리가 쓰는 순우리말에는 처음의 옛말이 변함없이 그대로 쓰이는 말도 있을 것이며 부분적으로 변하여 그 흔적만 남아있는 말도 있을 것이다. 순우리말이 처음의 옛말과 얼마나 어떻게 다른지 알 수는 없다. 그러나 세종이 훈민정음을 정리할 때의 옛말이 오늘날의 말로 변하는 과정에서 우리말 변화의 단면을 볼 수 있다.

우리말의 처음의 옛말은 알 수 없지만 오늘날 쓰고 있는 순우리말과 세종 때부터 내려온 옛말을 참고로 하여 우리말의 홀소리와 닿소리의 뜻을 살펴보고 그 뜻으로 닿소리와 홀소리가 합쳐진 낱소리의 뜻을 살펴보고 그 낱소리의 뜻으로 낱말의 뜻을 살펴보려 한다.

다온폰트 돌담 Light 이미지

자연의 모든 사물 하나하나를 라고 하였다. 는 다른 사물이나 물질인 를 만나 변화한다.

를 만나 의 상태가 이루어지면 새로운 사물이 된다. 그리고 를 이룬 새로운 상태에서 , , , 의 과정이 이루어지면 완전한 상태의 사물이 된다. 이렇게 이루어진 사물은 자신만의 형태와 성질을 갖게 되고 다른 힘에 의하여 쉽게 변하지 않는 사물이 된다.

. 완전한 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이물질이나 빈틈이 없이 그 사물의 물질 만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사물을 이루는 물질이 외부의 힘이나 이물질로부터 견딜 수 있으려면 단단 히 붙어 있는 상태가 되어야 한다.

. 사물이 완전한 상태가 되려면 상태를 유지하고 성질을 드러낼 수 있는 충 분한 가 있어야 한다.

. 사물이 , , 의 상태가 되면 안정된 상태가 되고 그 사물은 자신 만의 성질이나 형태나 능력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씨 앗에서 싹이 나고, 잎이 피고, 꽃이 피고, 열매를 맺는다. 달걀에 서 병아리가 되고 닭이 된다.

우리말에서는 자연의 사물이나 물질이 서로 합쳐져 자신만의 형태나 성질이나 힘을 갖고 외부의 힘에 의하여 변형되거나 변화하지 않는 완전한 상태가 된 사물을 라고 하였다.

상태의 사물이 밖으로 드러나게 되면 다른 사물과 구별되는 하나가 된다.

는 자연 속에서 다시 가되어 자연의 변화를 겪게 된다. 예를 들면 원자가 합쳐져 분자가 되고 분자가 합쳐져 무기물, 유기물이 된다. 그리고 단세포생물이 합쳐져 이세포 생물, 다세포 생물이 되고 자연의 모든 사물이 된다.

는 다른 사물과 구별되는 상태의 사물이다.

하나, 함께, 하루, 한결

는 하나의 사물이 이루어지는 상태 또는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 낸다.

하다, 하릴없다, 해치우다

는 사물이 다른 사물이나 물질이 합쳐져 완성된 사물이므로 처음 의 사물보다 크기가 커지고 양이 많은 상태가 된다.

하다(많다), 하늘, 하염없다, 하품, 한가득, 한길, 할아버지, 함박, 해

는 완전한 상태의 사물이므로 성질이 강하고 힘이 센 상태를 나 타낸다.

하비다, 한겨울, 한낮, 할퀴다, 함부로

는 자연의 수많은 사물 속에서 단지 하나의 사물에 불과하다.

한낱, 한갓

가 다른 와 함께하거나 가 들어가 크기가 커지거나 성질이 강해지는 상태를 나타낸다. 는 그 자체로 완성되어 안정된 사물이므로 쉽게 변하거나 다른 사물과 합쳐지거나 섞이기 어렵다. 는 다른 사물과 함께하여도 합쳐지지 못하고 따로 되는 상태를 된다.

는 사물이 분리되기 쉬운 상태 또는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허물다, 헌데, 헐겁다, 헐다, 헝겊, 헤어지다, 헤프다, 헹구다

는 사물과 사물이 서로 따로 된 상태에서 함께하게 되면 그 사 물의 성질이나 움직임이 안정되지 못한 상태가 된다.

허둥대다, 허우적거리다, 헤매다, 헷갈리다, 헝클다

는 따로 되어 있는 상태의 사물은 서로 구별되어 살필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헤가르다, 헤아리다

는 사물에 힘을 가하여 분리시키는 상태를 나타낸다.

헤젓다, 헤집다, 헤치다, 헐뜯다

는 사물에서 일부분이 분리되면, 분리된 사물이 있던 자리가 빈 공간 이 된 상태를 나타낸다.

허깨비, 허룩하다, 허술하다, 허울, 허전하다, 허허벌판, 허황하다, 헐렁하다, 헐벗다

의 핵심부분 또는 본성물질부분을 나타낸다. 사물의 본성물질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물질 부분이 없어지면 본성물질부분이 드러나게 된다. 그리고 사물의 본성물질부분에 가 들어가면 본성물질부분이 두드러져 나타나게 된다.

상태의 사물에서 가 빠져나가 상태가 되면 크기가 작아지고, 힘이 줄어드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사물의 본성물질부분에 가 들어가면 본성물질부분의 성질이 강해지고 힘이 세진 상태가 된다.

상태의 사물에서 가 빠져나가 본성물질부분만 남은 상태 또는 사물에서 물질이 부족한 상태를 나타낸다.

호듯하다, 호리하다, 호젓하다, 혼자, 홀로, 홀가분하다, 홑, 황, 횅 ➁ 는 움직이는 상태의 사물에서 (에너지물질)가 빠지면 움직임이 멈추거나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는 상태를 나타낸다.

회도리, 회오리, 회까닥

는 완전한 상태 사물이다.. 는 하 상태 사물의 핵심부분에 가 더 들어가면 가 남는 상태가 되고 남는 에 의하여 본성물질부분 이 밖으로 나오게 되어 성질이나 힘이 밖으로 드러나는 상태가 된 다.

환하다, 활, 활짝, 활활, 횃불

가 가득한 상태 또는 가 여럿이 모여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보다 크기는 커지고 성질은 강해지고 힘이 세진 상태가 된다.

는 크기가 커지거나 양이 많은 상태를 나타낸다.

후리후리하다, 훤칠하다

는 힘이 센 상태를 나타낸다.

후다닥, 후려치다, 훌쩍, 훨씬

는 다가 가득한 완전한 상태의 사물이다. 여기에 가 더 들어가 상태가 되면 겉 부분이 늘어나게 된다. 겉 부분 중에서 부드러운 부분이나 에 영향을 많이 받는 부분이 많이 늘어나게 되고 사물 은 둥글게 휘는 모습이 된다.

휘다, 휘감다, 휘날리다, 휘늘어지다, 휘두르다, 휘날리다, 휘어잡 다, 휘젖다

➃ 어떤 사물이나 일을 한꺼번에 처리하려면 그 사물전체를 둥글게 감 싸서 처리 하여야하고 는 그런 상태를 나타내는데 쓰인다.

훑다, 훔치다, 휩싸다, 휩쓸다

상태의 사물에 가 더 들어간 상태를 나타낸다. 상태가 되면 가 남게 되고 겉 부분은 모두 늘어나게 되어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사물을 이루는 물질은 남는 에 의하여 움직여 넓게 퍼지게 된다.

는 사물의 가 남을 정도로 많은 상태를 나타낸다.

흐뭇하다, 흔하다, 흠뻑, 흠씬, 흥건하다, 흥겹다, 흥청거리다

는 사물 가 남게 되면 남는 가 사물을 이루는 물질을 움직이고, 늘어나게 하고 퍼지게 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흐르다, 흐느끼다, 흐늘거리다, 흐트러지다, 흔들다, 흘리다, 흩다

는 사물을 이루는 물질이 넓게 퍼져 원래의 모습을 제대로 알 수가 없는 상태를 나타낸다.

흐리다, 흐무지다, 흐지부지

상태의 사물이 겉 부분이 늘어나지 않고 형태가 변하지 않으면 남는 는 압축하여 밀도가 높고 단단한 상태로 변형시키게 된다.

상태의 사물에 남을 정도로 많은 가 들어가 압축되어 단단하고 힘이 센 상태를 나타낸다. 상태가 되면 사물이 힘을 쓸 수 있게되고 다른 힘에 의하여 쉽게 변하지 않는 강한 상태가 된다.

는 힘이 센 상태이므로 자신의 힘을 쓸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는 사물의 물질이 압축되어 크기가 작아진 상태를 나타낸다. 힐금, 힐끗

<계속>

허일구
Latest posts by 허일구 (see all)

Share:

Facebook
Twi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