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고기원 72,398(2024년)
우리 민족 역사의 시원(始原)은 밝힌다.
우리 글, 한글
잊혀진 한글의 원형을 복원한다
역사의 현장을 찾다
끈끈히 이어지는 우리 역사의 현장을 찾아서...
시대를 이어가는 장인과 리더
과거를 전승하는 장인들 & 미래를 개척하는 리더들의 이야기
모여라! 문화 한마당
전통 문화의 현장을 찾아서....
마고기원 72,398(2024년)
우리 민족 역사의 시원(始原)은 밝힌다.
우리 글, 한글
잊혀진 한글의 원형을 복원한다
역사의 현장을 찾다
끈끈히 이어지는 우리 역사의 현장을 찾아서...
시대를 이어가는 장인과 리더
과거를 전승하는 장인들 & 미래를 개척하는 리더들의 이야기
모여라! 문화 한마당
전통 문화의 현장을 찾아서....
마고기원 72,398(2024년)
우리 민족 역사의 시원(始原)은 밝힌다.
우리 글, 한글
잊혀진 한글의 원형을 복원한다
역사의 현장을 찾다
끈끈히 이어지는 우리 역사의 현장을 찾아서...
시대를 이어가는 장인과 리더
과거를 전승하는 장인들 & 미래를 개척하는 리더들의 이야기
모여라! 문화 한마당
전통 문화의 현장을 찾아서....
Previous slide
Next slide
Our HISTORY
  • All
  • History
CULTURE

CONTRIBUTOR (기고)

  • All Post
  • Contributor
신의 부름을 따라 산을 오르다

무속인의 길목에서 마주하는 삼산돌기와 기도터 무속은 여전히 한국인의 무의식 속깊은 곳에 뿌리내려 있다. 시대가 변해도, 도시의 불빛이 강해져도, 사람들은 여전히 하늘과 땅 사이에서 길을 묻는다. 그리고 그 길의 시작은 산이다. 한국 무속에서 ‘삼산돌기’는 단순한 산행이 아니다. 그것은 신과 인간이 처음으로…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pills and medical books

이종한의 한의학 강의 · 二十六 연로하신 부부가 오후 늦게 내원하셔서 진료하는데, 허리가 아파서 한약을 복용하고 싶지만, 경제적 사정 때문에 한약 처방을 못 하고 침 치료와 물리치료만 원하신다. 일반적인 급성 요통에는 침 치료나 물리치료 부항 치료가 잘 듣지만, 오랜 기간이 흘러서…

Book and light bulb of business concept

유대균 교육학 박사/교육사랑플랫폼 대표 창의성(Creativity)은 라틴어의 ‘Creo(만들다)’를 어근으로 하는’Creatio’라는 말에서 유래되었다. ‘무(無), 또는 기존 자료에서 새로운 것을 발견하고 만들어 내는 것’을 뜻한다. 미래인재는 창의성이 필요하다는 것에 이의가 없다. 그것이 불확실한 미래를 대응하는 역량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창의성을 키우기 위한 교육은 어떻게…

미래교육의 방향 : 로마의 ‘도로망’인가? 중국의 ‘만리장성’인가?

동・서양에서 인류 문화와 역사에 영향을 끼친 대표적인 국가는 중국의 진나라와 로마제국을 꼽을 수 있다. 이들은 역사적 배경과 지정학적 환경이 서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나름의 소통방식으로 개척사적 문명을 일구었다. 그 대표적인 상징물이 ’로마의 도로망‘이고, ’중국의 만리장성‘이다.로마의 도로망은 로마 황제 옥타비아누스가 점령지의 넓은…

뜸 이야기

오후 늦게 유방암을 가진 40대 여성분이 내원하였는데, 병마하고 싸움, 이어지는 어려운 치료에 몸과 마음이 지친상태였다. 샤워 중 가슴에 멍울이 만져져서 산부인과 갔더니 큰 병원으로 보냈고, 종합병원에서 유방암 진단을 받고 각종 치료와 겨드랑이 림프 제거술도 받았단다. 질병에 대해 조사도 많이 해서…

한국 샤머니즘의 핵심, ‘신굿’과 ‘넋굿’

굿은 고대부터 이어져 온 한국 샤머니즘의 영적(靈的) 수행의 형태로, 여러 세대에 걸쳐 다양한 의식과 전통으로 변화되어 왔다. 오랜 세월을 거치며 지역마다 차이를 보이기도 하지만 굿이 지닌 근원적인 목적과 본질적 의미에는 큰 차이가 없다.현대에 와서 굿은 목적에 따라 크게 재수굿과 넋굿,…

여름에 라떼는 생강라떼지!

어릴 적 여름. 내 시절의 기억은 조그만 선풍기 앞에 옹기종기 모여 앉아 돌아가는 선풍기 따라 얼굴을 돌리던 추억이다. 그 바람은 왜 그리 더운지….그나마 선풍기 앞자리는 어르신 아이들 순서에 밀려 젊은이들은 냇가나 큰 나무 그늘 밑에서 부채에 의존하는 게 전부였다.더위 먹었다는…

깜빡 잊은 우리말

  • All
    •   Back
    • 깜빡 잊은 우리말
    • 용어탐색
    • 다시 읽는 조선실록
독(毒)

디 글자는 날 생(生) 밑에 어미 모(母)가 붙은 것으로서 육(育)의 음(音)을 갖고 있다. 맹독(猛毒)의 독(毒)과는…

정월 대보름날

정월 대보름날은 그해 첫 번째 드는 큰 보름날이라는 뜻으로 추석과 함께 대표적인 우리의 명절이다.우리 민속에서…

년(年)과 세(歲), 역사의 흔적

한 해의 표기로 年과 歲를 쓴다.둘 다 ‘해’의 뜻을 갖고 있다.그 역사적 의미와 변천과정을 살펴보자.요.순(堯,舜)…

홀륜 → 훌륭

홀륜(囫圇)이란 단어가 있다.<漢韓大辭典(東亞)>●온전할 홀(囫), 완전할 륜(圇), 결함이 없는 온전한 덩어리를 홀륜(囫圇)이라고 한다.홀(囫)은 ‘완전하다, 덩어리’라는 뜻이다.륜(圇)은…

가을 | 가실, 가슬

가을의 본디 말은 ‘가실’, ‘가슬’이다.거둬들인다는 뜻이다. 수확을 위해 열매를 끊어내야 한다. ‘끊다(따다)’의 고어인 ‘갓다’에서 왔다. ‘갓을’이…

어아가(於阿歌)와 노엘

‘어아가(於阿歌)’는 고대 한민족의 애국가요, 군가(軍歌)였다. BC 3898년 거발환 한웅이 나라 안에 명을 내려 음악을 연주하게…

경당(扃堂)의 변천사.2

삼국(三國)은 어떻게 변화됐는가? 경당이 태자 부루로 부터 시작되어 2,600여 년이 흐른 372년, 고구리 소수림왕은 또…

경당(扃堂)의 변천사

경당(扃堂)의 명칭이 새삼스럽다. 경당이 설치된 것은 BC 2267년이다. 세계 최초의 교육기관이다. 고조선 초기 국가 주요…

에이 개 같은 놈

욕일까, 칭찬일까? 개만도 못한 인간이 넘치는 세상에서 개 같은 인간이 되면 어떨까? 예기(禮記)의 곡례(曲禮下) 편에…

만평

INTERVIEW
  • All
  • Interview
참숯과 어우러진  토종닭숯불구이 미식여행, 계륵

2024-04-13

미식의 즐거움을 위해 춘천에 정착하다닭갈비 요리로 유명한 도시 춘천에 위치한 토종닭숯불구이 계륵(강원 춘천시 남산면 김유정로 351)은 이현미 대표의 닭 요리에 대한 열정이 더해져 블로그의 맛집으로 유명하다.“어렸을 때부터 제가 만든 음식은 대부분 맛있다는 말을 자주 들었기 때문에 음식 맛에 대한 자신감이 있었어요.”라며 이현미 대표는 손맛에 대한 자부심을 내보인다. 맛집으로 유명세를 떨치는 곳은 대부분 맛에 대한 자신감과 […]

리더가 되려면 역사를 알아야 한다

2024-01-28

“사회의 리더가 되려는 사람들은 반드시 역사를 알아야 된다고 생각합니다.”유대균 교육학자가 역사교육 강화 방안을 위해 교육부에서 일할 당시 만든 정책이 있다. 그는 교원들의 역사 인식과 국가에 대한 확실한 정체성을 갖추기 위해 교감 승진자들은 역사교육 연수 60시간 이수나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급 이상을 획득해야 하는 정책을 만든 적이 있다. 지금은 교원이 되기 위해서는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시행하는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급이상 자격을 반드시 […]

연꽃으로 피어난 紙花

2022-11-05

사단법인 한국전통지화보존회이사장 승화장(僧花匠) 정명스님 “꽃을 장엄하게 만드는 게 제 수행입니다.”사찰 연화세계 주지로 있는 정명스님은 한국 최고의 지화(紙花)의 장인 승화장(僧花匠)이다.지화는 종이로 꽃을 만드는 것을 말하는데정명스님은 그중에서도 연꽃 등(燈)을 잘 만드는 것으로 유명하다.스님은 최근 “2022 자랑스런 한국인상 대상을 수상했다. 40여 년 수행으로 피워낸 아름다운 연꽃경기도 청평 연화세계 작업장에서 스님은 정성스럽게 연꽃을 만든다. 스님은 “질 좋은 한지를 재단해 […]

침묵의 공간에서 찾는  자유로움

2022-09-24

한지민 개인전 <읽는 사람들> 현대인의 모습을 부드러운 화면에 담아내는 한지민의 개인전 <읽는 사람들>이 10월 4일부터 11월 4일까지 이목화랑에서 열린다. 인물화는 대개 일반인에게 쉽게 다가가기 어려운 장르임에도 불구하고, 한지민의 작품은 온·오프라인 상에서 많은 사람들의 공감과 사랑을 받고 있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한지민은 그동안 현대인의 모습을 다각도로 그려왔는데, 이번 전시에서는 주로 서점, 도서관 등에서 포착한 인물에 초점을 […]

한국성을 자연에서 찾고자 한 것이 소나무에 닿았다

2022-09-01

서울 인사동 갤러리 보아에서는 8월 3일부터 8월 29일까지 4주간 김경인 작가(인하대 명예교수)를 초대하여 <소낭구의 얼과 힘>展을 진행한다. 김경인 화백은 일본이나 강원도 정선, 청주 등에서 개인전을 열었지만 서울전은 1995년 조선일보미술상 수상전에 이은 2004년 학고재 갤러리 초대전 이후 18년 만의 전시이다. ‘한국성의 탐구자’ 김경인 화백은 이번 전시에서는 <소나무> 시리즈를 중심으로 작품들을 구성했다. 이는 1991년 강원도 정선에 머무르다 […]

dESKRO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