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 Hangul

한문수│역사칼럼니스트, 수필가 단절(斷絶)은 어떤 대상과의 관계나 교류 등을 끊어 버릴 때 쓴다.절단(絶斷)으로도 쓴다.족보에서 혈통은 어떻게 단절되는가.전조(前朝) 고려의 흔적을 지우고, 공신(功臣)의 기록을 삭제하여 계대를 끊는 방법이 있다.이는 절대자가 권력기반을 강화하고 변란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됐다.이로 인해 문중의 계대가 사라지는 경우가 발생한다.실록에 기록된 사례를 살펴보자 조선은 상징성이 높은 문화재와 고려 임금의 어진, 동상이나 몇몇 불교 문화재들을 […]

고종실록 30권, 고종 30년 3월 25일 정미 1번째기사 1893년 조선 개국(開國) 502년 차대(次對)를 행하였다. 영의정(領議政) 심순택(沈舜澤)이 아뢰기를,“연이어 전라도(全羅道)와 충청도(忠淸道) 도신(道臣)의 전보(電報)를 보고, 계속하여 충청 감사(忠淸監司) 조병식(趙秉式)과 병사(兵使) 이용복(李容復)의 장계에 대한 등보(謄報)를 보니, 허망한 무리들이 날로 더욱 무리를 불러 모아 전라도와 충청도에 깃발을 세우고 서로 호응하고 있는데, 그들의 자취가 매우 헤아릴 수 없으므로 결코 타일러서 귀화시킬 […]

세종실록 13권, 세종 3년 8월 20일 경술 2번째기사 1421년 명 영락(永樂) 19년 예조 좌랑(禮曹佐郞) 방구달(房九達)을 보내어 도총제(都摠制) 김만수(金萬壽)에게 사제(賜祭)하였는데, 교지하기를,“신하가 능히 힘을 다하여 국가에 공이 있으면, 임금도 또한 그 공을 생각하여 조문하고 구휼하는 예를 더하여 주게 되는 것은, 이것이 만대에 내려가는 변하지 않는 좋은 법전이고, 한 사람의 사정으로 하는 은혜가 아닌 것이다. 오직 경은 기품이 넓고 […]

세종실록 48권, 세종 12년 4월 11일 신사 1번째기사 1430년 【태백산사고본】 15책 48권 3장 B면【국편영인본】 3책 229면【분류】 왕실-의식(儀式) / 왕실-국왕(國王) / 사법-법제(法制) / 출판-서책(書冊) / 외교-명(明) / 외교-야(野) / 어문학(語文學) 조참(朝參)을 받고, 정사를 보았다.임금이 근신들에게 이르기를,“지금 세자에게 조복을 보내 준 것은 달라고 청하여서 보낸 것이 아니다. 전에 보내 준 육량관(六梁冠)은 중국의 2품관의 조복인데, 지금 보내 온 […]

성종실록 134권, 성종 12년 10월 17일 무오 1번째기사 1481년 【태백산사고본】 20책 134권 11장 B면【국편영인본】 10책 265면【분류】 군사-군정(軍政) / 군사-지방군(地方軍) / 군사-군역(軍役) / 군사-관방(關防) / 정론-정론(政論) / 외교-명(明) / 외교-야(野) / 외교-왜(倭) / 호구-이동(移動) / 사상-불교(佛敎) / 역사-고사(故事) / 역사-전사(前史) / 교통-육운(陸運) / 재정-역(役) 남원군(南原君) 양성지(梁誠之)가 상언(上言)하기를,“신이 생각건대, 자고로 천하 국가의 사세(事勢)는 이미 이루어졌는데도 혹 알지 […]

중종실록 27권, 중종 11년 12월 10일 병진 4번째기사 1516년 【태백산사고본】 14책 27권 5장 A면【국편영인본】 15책 243면【분류】 행정-중앙행정(中央行政) / 정론-정론(政論) / 사상-불교(佛敎) / 사상-도교(道敎) / 재정-전세(田稅) / 역사-전사(前史) 한산 군수(韓山郡守) 손세옹(孫世雍)이 상소하였는데, 그 대략은 다음과 같다. “신이 일찍이 기신재(忌晨齋)918) 가 잘못임을 목도하고, 지난 폐조(廢朝) 때 정언(正言)으로 있으면서 소를 올려 역력히 진달(陳達)하였었는데, 올여름에 성상께서 간원(諫院)의 말을 받아들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