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cture of 허일구
허일구

‘조’에서 ‘지까지

말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우리가 쓰고 있는 말의 근원이 궁금할 때는 옛말이나 어원을 찾아 그 뜻을 알아본다. 그러면 그 옛말이나 어원을 이루는 말들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그러나 말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알 수 있는 문헌이나 참고할 자료가 없다.

말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를 굳이 추측해 보면 옛 사람들이 그냥, 어쩌다 쓰던 말들이 다른 사람들이 따라하게 되고 그 말들이 점점 많아져서 말이 됐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말에는 그냥, 어쩌다 만들었다고 생각하기에는 의문이 드는 부분이 있다. 우리말의 홀소리에서 ‘아’는 ‘어’보다 작은 뜻을 나타내고 ‘오’는 ‘우’보다 작은 뜻을 나타낸다. 특히 의성어 의태어에서 잘 나타나있다. 만약 말이 그냥 어쩌다 무턱대고 만들어졌다면 ‘아’가 ‘어’보다 큰 뜻을 나타내는 말도 있고 ‘오’가 ‘우’보다 큰 뜻을 나타내는 말도 있어 뒤죽박죽됐을 텐데 우리말에서는 예외가 없다. 우리말에서 ‘아’는 사물이나 생물의 작은 상태를 나타내는데 쓰였다. 강아지, 송아지, 병아리, 항아리, 씨앗, 알, 아기, 아이 따위에서 볼 수 있다. 여기에서 ‘아’는 작은 상태의 사물 또는 어떤 생물이 성장하기 이전 처음 상태의 사물이라는 뜻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상대적으로 ‘어’는 큰 상태의 사물 또는 성장한 상태의 사물이라는 뜻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사물이나 생물이 커지거나 성장하려면 다른 사물이나 물질을 흡수하거나 합하여 져야한다. ‘어’는 사물이나 생물이 다른 사물이나 물질을 흡수하거나 합해지는 상태 또는 합해진 상태의 뜻을 생각해볼 수 있다.

몇 몇 낱말의 뜻으로 낱소리의 뜻을 판단할 수는 없다. 낱소리의 뜻을 제대로 알아보려면 그 낱소리가 쓰이는 모든 우리말의 낱말에서 그 뜻을 찾아봐야 한다. ‘아’의 뜻을 찾으려면 ‘아’가 쓰여 지는 순우리말을 모두 모아 ‘아’가 나티내는 공통의 뜻이 있는지 찾아보고 공통의 뜻이 있다면 그 뜻이 낱소리 ‘아’의 뜻이라 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우리말의 홀소리와 닿소리의 뜻을 찾아볼 수 있다.

우리말 낱소리의 뜻을 찾으려면 말이 시작됐을 그 때의 옛말에서 그 뜻을 찾아야 한다. 말은 세월이 흐르고 시대가 바뀌면서 끊임없이 변한다. 세종이 훈민정음을 집대성할 때의 말만 하더라도 다른 나라말처럼 알아보기 어려운데 수천 년일지 수 만년일지 아니면 그보다 더 오래된 옛말을 알 수는 없다. 그러나 우리말에는 말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의 흔적을 알 수 있는 말들이 있을 것이다 현재 우리가 쓰는 순우리말에는 처음의 옛말이 변함없이 그대로 쓰이는 말도 있을 것이며 부분적으로 변하여 그 흔적만 남아있는 말도 있을 것이다. 순우리말이 처음의 옛말과 얼마나 어떻게 다른지 알 수는 없다. 그러나 세종이 훈민정음을 정리할 때의 옛말이 오늘날의 말로 변하는 과정에서 우리말 변화의 단면을 볼 수 있다.

우리말의 처음의 옛말은 알 수 없지만 오늘날 쓰고 있는 순우리말과 세종 때부터 내려온 옛말을 참고로 하여 우리말의 홀소리와 닿소리의 뜻을 살펴보고 그 뜻으로 닿소리와 홀소리가 합쳐진 낱소리의 뜻을 살펴보고 그 낱소리의 뜻으로 낱말의 뜻을 살펴보려 한다.

상태이다. 는 사물의 핵심 부분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는 사물의 핵심부분이 붙어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사물의 핵심부분이 붙게 되면 크기가 작아진다. 그리고 붙어있는 힘이 세고 쉽게 떨어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는 사물의 작은 상태 또는 작아지는 상태를 나타낸다.

조각, 조그맣다, 조금, 조것, 조기, 조르다, 조바심, 조아리다, 조이 다, 조촐하다, 좀처럼, 좁다, 쪼개다, 쪽

는 사물의 속 물질이 서로 붙어 밀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졸이다, 촉촉하다, 촘촘하다

는 사물을 이루는 물질이 강하게 붙어 쉽게 떨어지지 않는 상태 를 나타낸다.

존득하다, 존존하다, 쫄깃하다

는 사물의 물질이 서로 붙어 움직일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낸다.

조용하다

는 사물의 물질이 서로 붙을 때 물질과 물질 사이의 가 밀려 나가 가 적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초라하다, 조촐하다

상태이다. 주는 사물을 이루는 물질 전체가 완전하게 를 이루어 합쳐진 상태 또는 가 여러번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사물의 물질전체가 붙어있게 되면 물질과 물질사이의 공간은 없어지고 그 공간에 들어있던 다는 모두 밖으로 밀려나게 되어 다가 적어지거나 없는 상태가 되고 전체가 붙어 하나의 덩어리로 된 사물이 되고 힘이 센 상태가 된다.

는 사물에서 가 빠져나가 가 적거나 없는 상태를 나타낸다.

주리다, 주름, 주저앉다, 주저하다, 주제, 죽, 죽다, 줄다, 쭈거리다, 쭉정이, 출출하다, 춥다

는 사물이 여러번 를 이루어 하나의 사물이 된 상태를 나타낸 다.

주렁주렁, 줄, 줄기

는 사물을 이루는 물질 전체가 합쳐져 물질의 움직임이 적어지 거나 없는 상태를 나타낸다.

주머니, 주먹, 주무르다, 죽치다, 줍다, 쥐다

는 사물의 물질전체가 완전하게 합쳐지면 하나의 덩어리로 되어 강하고 힘이 센 상태가 된다.

추근대다, 추다, 추스르다, 추어내다, 춤

상태다. 사물이나 물질이 붙거나 결합할 때는 붙거나 결합하는 힘이 있다. 는 붙는 힘이 전체를 붙게 하고 남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태가 되면 물질과 물질사이의 는 모두 밀려나게 되고 물질속의 는 서로 함께 쓰는 상태가 된다. 상태의 사물에 외부의 힘이 가해지면 끊어지거나 떨어지지 않고 늘어나게 된다.

사물의 는 물질과 물질사이의 와 물질 속의 를 구별하여 보아야한다. 옛말에는 첫소리에 가 쓰이는 낱말이 더러 있었으나 요즈음 우리말에는 주나 지로 변화하여 쓰이고 있다.

는 사물 속에 힘이 되는 물질이 남을 정도로 많은 상태를 나타 낸다.

즐겁다.

는 사물의 물질속의 힘이 남을 정도로 많아 사물이 늘어나는 상 태를 나타낸다.

즈음, <옛>즐다(질다), <옛>즐펀하다(질펀하다)

는 힘이 남는 상태이므로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옛>즛(짓), <옛>즞다(짖다)

는 사물을 이루는 물질과 물질사이의 가 모두 빠져나간 상태 를 나타낸다.

<옛>즈즐하다(지질하다), <옛>즐히다(지리다), <옛>즛의(찌꺼기)

상태이다. 상태는 사물이나 물질이 완전히 합쳐져 고정된 상태다. 완전한 합쳐지면 물질과 물질사이의 는 모두 빠져나가고 물질 속의 는 물질을 결합하는 힘이 되어 하나의 몸으로 된 사물이 되고 결합된 물질은 따로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상태가 되면 완전한 결합이 이루어져 단단한 상태가 되고 외부의 힘에 의하여 분리되거나 늘어나지 않는 고정된 상태가 된다.

는 다가 없는 상태를 나타낸다.

지다, 지치다

는 사물에 다가 없어 측면에서는 쓸모없는 사물이나 물질이 된 상태를 나타낸다.

지게미, 찌꺼기

는 사물을 이루는 물질이 완전히 합쳐져 하나의 몸처럼 되고 움직 임이나 변화가 없는 상태를 나타낸다.

지겹다, 지나다, 지내다, 지루하다, 지새다, 지니다, 지우다, 짐, 짊어 지다, 집, 집다, 찌들다

는 사물을 이루는 물질들이 완전히 합쳐져 단단하고 강한 상태 가 된다.

짓누르다, 짓밟다, 찍다, 치다, 치우다<계속>

허일구
Latest posts by 허일구 (see all)

Share:

Facebook
Twi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