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선 산후(産後)음식 – 산모에게 좋은 5月 쑥 이야기

4월의 꽃 잔치가 끝나고 나면 5월은 신록(新綠)의 계절이다. 산과 들을 바라보노라면 꽃보다 아름다운 신록(新綠)이라는 말이 절로 나온다.새순은 연녹색으로, 먼저 나온 잎은 짙은 초록색으로 녹색의 꽃처럼 무리지어 있는 산은 참으로 꽃보다 아름답다. 여분의 공터도 아낄세라 알뜰히 지은 상가 뒤편으로 손바닥만 한 뒤뜰에 서로 다투어 이름 모를 풀도 나고 풀꽃도 피기도 하고…그런데 유독 새파랗게 쑥 올라와 있는 […]

배는 짱짱, 허리는 낭창, 짱짱 낭창 프로젝트.12

두발로 서서 생활하는 인간에게 허리 통증은 어쩌면 숙명(宿命)이다. 대부분의 인간은 살아가면서 요통에 시달린다. 체중의 60%를 지탱하는 허리는 지구 중력과 상체의 무게를 버티다가 뒤틀리고 휘거나 고장난다. 네발로 다니는 동물들에게는 없는 요통이라는 질병을 인간은 신으로부터 선물로 받았다. 증명사진을 찍을 때 흔히 “고개를 약간 돌리세요”라는 말을 듣는다. 자신은 똑바로 고개를 들었다고 생각하는데, 6시 5분의 자세를 자신도 모르게 유지하고 […]

배는 짱짱, 허리는 낭창, 짱짱 낭창 프로젝트.11

인간이 대지를 딛고 서 있다는 것은 엄청난 일이다. 직립(直立)은 중력을 이겨내는 일이다. 인간의 몸은 한 개의 막대기나 파이프가 아니다. 206개의 크고 작은 뼈가 근육과 인대, 360여개의 관절과 결합된 채, 이완과 수축을 반복하며 인간의 몸을 하늘로 향해 세우는 작업은 고도의 정밀한 기계가 아니면 할 수 없다. 간난아이는 걷기 위해, 아니 서기 위해 수십만 번의 시행착오를 겪어야 […]

약선 산후(産後)음식 – 4月의 샐러드

봄에 태어난 아기는 새싹과 더불어 크는 것 같다. 싹이 돋았나 싶으면 어느 새 삐죽삐죽 올라와 있다. 흙바닥을 비집고 올라와 겨우 고개만 내민 싹을 보면 신생아 얼굴이 떠오른다.하루씩 하루씩 통통해지는 새싹과 신생아 얼굴은 닮아있다. 언제나 땅에서 올라올까 싶지 않아서 ‘아이구, 땅에 붙어 있네…‘ 한숨 쉬고 돌아서서 조심스레 물 주고 보면 조금은 큰 것 같기도 하구… 신생아도 […]

오감만족 모유(母乳).7

일본에서는 예로부터 “고인젖은 먹이지 말라”라고 전해져 온다고 <모유로 아기를 기르는 요령>이란 책에서 작자 야마니시 미나코 말하고 있다. 오줌은 참으면 방광염을 일으키게 되고, 변은 참으면 장 내에 정체되어 이상발효된 탓에 고약한 냄새나 변비를 일으키게 되는데, 젖도 같은 이치여서 그것을 정체시킨다는 것은 트러블의 원인이 되지요.오랫동안 유방 안에 고여 있던 젖은 차고, 단맛도 변하여 너무 달던가, 너무 담백해져서 […]

이혼의 유혹

이혼이 큰 흠집이 아닌 세상이 되었다. ‘돌싱’이라는 단어가 낯설지 않는 세상이다. 하지만 여전히 이혼에 대한 논의는 어려운 난제이다. 이혼 사유는 매우 복잡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상대방의 결격 사유로만 밀어붙이는 것에도 한계는 있다. 한 사람 잘못으로는 이혼하지 않는다. 손바닥도 마주쳐야 소리가 나기 때문이다. 이혼의 유혹을 떨쳐내기 위해서는 현대 사회에서 결혼의 복잡성에 대한 더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

우위와 열위의 문제

한국의 70년대는 다자녀에 폭발적 인구 증가의 시기였다. 그래서 그 시기를 살았던 많은 사람들은 항상 경쟁 속에서 살게 되고, 마음 속에 다른 사람과 경쟁을 하여 다른 사람한테 이겨야 한다는 마음을 가지고 살아왔다. 또한 사회도 좁은 곳에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으니 그 사람들 사이에 서열을 매겨서 다툼이 생기지 않도록 유도하기도 하였다. 아마 우리나라 사회의 서열화는 그런 […]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 인간다움과 미래다움

AI는 사람의 지적활동을 컴퓨터를 통해 구현하는 기술이지만 교육의 체제를 완전히 바꾸어 놓을 것이다. 학습 도구와 방법, 지식 접근성 그리고 교사 양성에서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지난해 3월 빌게이츠는‘The age of AI has bagun’이란 주제의 글에서 일생동안 혁명적이라고 생각하는 두 가지 기술을 목격했는데 한가지는 1980년대에 개발된 Window를 비롯한 인터페이스 체제이고, 다른 한 가지는 2016년 Open AI팀에서 개발한 […]

배는 짱짱, 허리는 낭창, 짱짱 낭창 프로젝트.10

옛말에 ‘몸이 천 냥이면 눈이 구백 냥’이라는 말이 있다. 그만큼 눈은 인간의 감각기관중 중요하다는 뜻이다. 또 눈은 ‘마음의 창’이라고 불린다. 인간의 심리상태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눈은 얼굴의 가운데 자리해 인상을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 얼(정신)이 들어있는 굴이란 뜻의 얼굴에서 주인 역할을 눈은 한다. 두 눈을 실명한다는 것은 생명을 잃은 것과 비견할 정도로 심각한 […]

약선 산후(産後)음식 – 사무치게 그리운 매운맛

산후 조리중 가장 그리운 것은 단연 매운 맛이다. 그리고 차가운 곳, 딱딱한 것 등등…그런데 이 모든 것들이 산모에게 절대 금지 식품이니 어찌할꼬?산후음식과 산후조리의 중요성을 심각하게 생각 안 하는 산모 중에는 몰래 아이스크림을 사다가 이불을 뒤집어쓰고 먹었다는 일화도 있다.나이 오십이 되어 이가 시리고 관절이 시큰거리게 되면 후회할 것을… 그때는 몰랐을 것이다. 남자들이 모이면 군대 얘기, 여자들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