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간이 대지를 딛고 서 있다는 것은 엄청난 일이다. 직립(直立)은 중력을 이겨내는 일이다. 인간의 몸은 한 개의 막대기나 파이프가 아니다. 206개의 크고 작은 뼈가 근육과 인대, 360여개의 관절과 결합된 채, 이완과 수축을 반복하며 인간의 몸을 하늘로 향해 세우는 작업은 고도의 정밀한 기계가 아니면 할 수 없다. 간난아이는 걷기 위해, 아니 서기…

봄에 태어난 아기는 새싹과 더불어 크는 것 같다. 싹이 돋았나 싶으면 어느 새 삐죽삐죽 올라와 있다. 흙바닥을 비집고 올라와 겨우 고개만 내민 싹을 보면 신생아 얼굴이 떠오른다.하루씩 하루씩 통통해지는 새싹과 신생아 얼굴은 닮아있다. 언제나 땅에서 올라올까 싶지 않아서 ‘아이구, 땅에 붙어 있네…‘ 한숨 쉬고 돌아서서 조심스레 물 주고 보면 조금은…

일본에서는 예로부터 “고인젖은 먹이지 말라”라고 전해져 온다고 <모유로 아기를 기르는 요령>이란 책에서 작자 야마니시 미나코 말하고 있다. 오줌은 참으면 방광염을 일으키게 되고, 변은 참으면 장 내에 정체되어 이상발효된 탓에 고약한 냄새나 변비를 일으키게 되는데, 젖도 같은 이치여서 그것을 정체시킨다는 것은 트러블의 원인이 되지요.오랫동안 유방 안에 고여 있던 젖은 차고, 단맛도…

한국의 70년대는 다자녀에 폭발적 인구 증가의 시기였다. 그래서 그 시기를 살았던 많은 사람들은 항상 경쟁 속에서 살게 되고, 마음 속에 다른 사람과 경쟁을 하여 다른 사람한테 이겨야 한다는 마음을 가지고 살아왔다. 또한 사회도 좁은 곳에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으니 그 사람들 사이에 서열을 매겨서 다툼이 생기지 않도록 유도하기도 하였다.…

AI는 사람의 지적활동을 컴퓨터를 통해 구현하는 기술이지만 교육의 체제를 완전히 바꾸어 놓을 것이다. 학습 도구와 방법, 지식 접근성 그리고 교사 양성에서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지난해 3월 빌게이츠는‘The age of AI has bagun’이란 주제의 글에서 일생동안 혁명적이라고 생각하는 두 가지 기술을 목격했는데 한가지는 1980년대에 개발된 Window를 비롯한 인터페이스 체제이고, 다른 한…

옛말에 ‘몸이 천 냥이면 눈이 구백 냥’이라는 말이 있다. 그만큼 눈은 인간의 감각기관중 중요하다는 뜻이다. 또 눈은 ‘마음의 창’이라고 불린다. 인간의 심리상태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눈은 얼굴의 가운데 자리해 인상을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 얼(정신)이 들어있는 굴이란 뜻의 얼굴에서 주인 역할을 눈은 한다. 두 눈을 실명한다는 것은 생명을…

산후 조리중 가장 그리운 것은 단연 매운 맛이다. 그리고 차가운 곳, 딱딱한 것 등등…그런데 이 모든 것들이 산모에게 절대 금지 식품이니 어찌할꼬?산후음식과 산후조리의 중요성을 심각하게 생각 안 하는 산모 중에는 몰래 아이스크림을 사다가 이불을 뒤집어쓰고 먹었다는 일화도 있다.나이 오십이 되어 이가 시리고 관절이 시큰거리게 되면 후회할 것을… 그때는 몰랐을 것이다.…

모유수유와 충치 21개월 된 엄마가 단유를 하러 상담실을 찾았다.2돌까지는 먹이려 했는데, 충치가 생겨서 할 수 없이 끊어야 한다고 한다.젖을 빠는 모습이 너무 예뻐서 길게 먹였는데, 욕심 때문에 아이만 아프게 한 거 아닌지 하는 후회가 든단다.10개월 된 엄마는 아이의 이가 색이 변한 듯해 치과에 갔더니, 충치가 생겨서란다. 아직까지도 모유를 먹였냐며, 무식한…

간혹 한의학에 산부인과가 있는지 질문하는 경우가 있다. 당연히 한의학에도 산부인과가 있다. 산부인과는 부인과와 산과로 나뉜다. 부인과는 또 월경에 대한 내용과 월경 외 자궁 등 여성부속기에 대한 내용으로 나뉜다. 산과는 임신과 출산 그리고 산후 문제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한의학에서는 간편하게 경대태산(經帶胎産)으로 나누어 이야기한다. 경(經)은 월경과 관련된 내용이고, 대(帶)는 월경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