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 대보름! 오곡밥에 아홉 가지 나물을 먹으며 풍요로운 다이어트를 꿈꾸다

왜 대보름인가?유독 정월에 뜨는 보름달은 ‘대보름’이라고 칭한다. 아마 새해 들어 처음 맞는 보름달이라서 대(大)자를 붙인 건 아닐까?정말 대보름달의 달은 더 큰가?하고 의구심을 가진 적이 있다.실제로 어릴 적 선생님께 이런 질문을 한 적이 있다.답인 즉 “정월에 뜨는 보름달이 가장 크게 보인단다.”정말 그럴까? 아마도 한겨울 적막한 동산에 둥실 떠 있는 달만 몰입해서 볼 수 있으니 더 크게 보이는 건 아닐까?고래(古來)로부터 인간의 가장 관심사는 해와 달이었던 것 같다. 자연현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니 원시부터 숭배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었던 것 같다.어쨌든 우리 세시풍속(歲時風俗)에서

꿩 대신 닭으로 끓인 떡국처럼…

소박한 한 해를 기원하며 시작은 늘 어렵다. 새해 첫날도 그렇다. 새해 첫날에 끓이는 떡국 또한 그러하다. 매년 끓이는 떡국인데 맛있게 성공한 적은 별로 없는 것 같다. 어릴 적 먹던 떡국의 맛도 톡 쏘는 후추의 향 만 기억된다. 떡국에 후추는 환상의 조화다. 느끼하고 텁텁한 고기 국물의 맛을 한방에 산뜻하게 해주는 후추야 말로… 너무 많이 넣어서 맛도 버리고 혼났던 기억도 남아 있다. 새해 첫날엔 왜 떡국을 끓였을까? 기원은 모호하지만 고려시대 귀족들이 꿩을 잡아 떡국을 끓였다는 기록이 있다 한다.(서민은 꿩 대신 닭으로)새해 첫날의

동짓날에는 추억을 먹는다

‘가을엔 집에 강아지도 바쁘다’라는 말이 있다. 햇살 좋은 가을에 분주히 갈무리를 하다보면 어느덧 겨울이 성큼 다가와 있다. 장독대 위에 서리 맞고 떨어진 고운 단풍잎이 가을이 가고 있음을 말해준다. 어느 시인의 시구(詩句) ‘오메, 단풍 들것네’를 대뇌이며 ‘오메, 또 한 해가 가내’하며 서글픈 사설을 지껄인다. 회한이 없는 한 해는 없는 것 같다.마지막 가는 겨울 햇살이 아까워 친구를 불러내 드라이브 일광욕을 하다가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시골 장 구경까지 호사한 하루였다. 시골 장터는 계절을 느끼게 해줘서 정겹다. ‘아~~ 그렇지? 청국장을 할 때지’ 이런 식으로

사군자탕

천고마비의 계절! 이 가을엔 무엇을 먹을까?

인간의 5대 욕망 중에 식욕이 첫째라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지만, 사실 가만히 생각해보니 하루 중 ‘무얼 먹을까?’를 가장 많이 생각한 것 같다. 특히 주부의 입장에서는 거의 일상사가 오늘은 무얼 해 먹을까에 전전긍긍하게 된다. 현대에 와서 가사보다는 사회활동이 주가 되어서 세끼를 책임지는 일에서 많이 벗어나기는 했지만 인간사에서 가장 많이 생각하는 건 역시 먹는 일인 것 같다.옛말에 ‘등 따숩고 배부르면 만사가 땡이다’라는 말이 생각난다. 역시 맛있는 걸 먹고 난 후의 만족감이 제일 큰 거 같다. 고단한 하루를 보내고 맛있는 음식 배불리 먹고 폭신한

건강함을 담은 약선(藥膳)김치

어느 날 TV에서 북한의 김장 모습을 보면서 처음으로 북한도 우리와 같은 민족이구나 하는 동질감을 느낀 적이 있다. 마치 어릴 적 김장의 풍경을 재현한 듯하여 가슴이 뭉클한 적이 있다. 온 동네, 온 식구가 동원되어 개울가에서 배추를 씻고, 나르고…. 내 어릴 적엔 한 집에 백 포기 이상 담던 김장이 지금은 핵가족과 아파트 생활로 인해 김장이라고 말하기에도 무색하다. 그렇지만 아들 식구, 딸 식구, 사돈 식구까지 모여 함께 김장을 담그는 새로운 문화가 탄생했다. 너른 시골집에 모여 담그는 김치 체험(현장 학습)은 아이들에겐 꼭 중요한 한

사찰의 명절 음식을 엿보다

추석 명절에는 무엇을 먹을까? 더위야 언제 가니? 하고 말복(末伏) 날짜를 손꼽다 보면 더위에 지친 몸을 추스르기도 전에 추석이 성큼 다가와 있다. 옛 어르신들이 ‘추썩 추썩’(성큼 성큼의 뜻) 온다고 하여 추석이라더니 하는 일없이 마음만 분주한 게 명절인가 보다. 그동안 코로나19로 설왕설래(說往說來) 명절 같지 않은 명절을 몇 해 보내고 올해는 제대로 차례 상에 모여 볼까 하는 기대도 해 본다. 둥근 한가위 보름달이 산사(山寺)에도 비추니 사찰의 명절 음식이 궁금해진다. 사찰의 명절음식! 사찰 음식은 무엇이 다를까? 살펴보기로 하자. 첫째 사찰음식은 철학이 있는 음식이다. 식공양(음식섭취)도

사군자(四君子) 차

약선공양간 임영의 TEA ESSAY 덥다 정말 덥다. 이른 장마에 마치 찜 통속에 들어 앉아 있는 것처럼… 찜통 더위란 표현이 딱이다. 누워도 앉아도 땀이 줄줄 흐르고 어질어질 맥이 하나도 없다. 더위를 못 이긴 탓이 아닐까? 어릴 때는 복날이 좋았다. 땀을 뻘뻘 흘리며 가마솥에 닭을 잡아 끓여주던 어머니와 그 닭백숙 맛을 어찌 잊으랴. 그래서 복날은 ‘복(福) 받은 날’이라는 뜻인 줄 알고 지냈다. 어른이 돼서야 복날의 의미를 알게 됐다. 엎드릴 복(伏)자 란다. 너무 더우니 가만히 엎드려 쉬라는 뜻인가? 원…. 놀고 먹을 수 있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