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도(祈禱)
사전적 정의는 신이나 절대적 존재에게 바라는 바가 이루어지기를 비는 것이라 했다. 갑골문에서는 빌 기(祈)의 보일 시(示)는 해, 달, 별이 받쳐져 있고 제사상 위에 제물을 올려놓은 형상이다. 한 알의 곡식을 위해 해, 달, 별의 노고를 그린 것이다. 시경(詩經)에 ‘斤은 斤斤其明이고 明은 심(心)이다’ 했으니, 곧 마음이다. 마음을 다스림이 지감(止感)이고 이후 육감(六感)이 열린다. 빌 도(禱)의 목숨 수(壽)는 몸이다. 몸과 마음이 깨끗하여야 하늘의 은총을 받음이다. 모든 종교의식에서 행하는 기도(祈禱)는 이 같은 육신의 고백을 통해 몸과 마음을 깨끗하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고대로부터 우리 선조들이 성(聖)스럽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