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당(扃堂)의 기원과 의의-조선의 성균관
고려의 국자감(國子監)1)은 1298년(충렬왕 24)에 원의 압박으로 성균감(成均監)으로 되었다가 1308년(충선왕, 즉위년)에 다시 성균관(成均館)2)으로 강등됐다.성균관은 황제 나라의 교육기관이었던 벽옹(辟雍) 또는 국자감보다 한 단계 낮은 이름이었다. 1356년 배원정책과 왕권 강화 일환으로 국자감으로 환원하였으나 1362년 다시 성균관으로 바꿨다. 성균관은 1910년 한일병탄 이후 경학원(經學院)으로 바뀌는 치욕적인 수난을 당했다. 학궁 또는 반궁이라고도 하였다. 이는 주나라 교육기관을 벽옹, 제후국은 반궁이라 부른데서 연유한다.개성에 있었던 성균관은 1398년(조선 태조 7) 서울(한양(漢陽)으로 이전했다. 성균관의 시설은 임진왜란 때에 모두 불타버리고 1601년(선조 34)부터 6년에 걸쳐 복구했다.소도(蘇塗) 자리에는 유학(游學)을 강의하는 명륜당(明倫堂)과 공자 및 중국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