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당(扃堂)의 기원과 의의-조선의 성균관

고려의 국자감(國子監)1)은 1298년(충렬왕 24)에 원의 압박으로 성균감(成均監)으로 되었다가 1308년(충선왕, 즉위년)에 다시 성균관(成均館)2)으로 강등됐다.
성균관은 황제 나라의 교육기관이었던 벽옹(辟雍) 또는 국자감보다 한 단계 낮은 이름이었다. 1356년 배원정책과 왕권 강화 일환으로 국자감으로 환원하였으나 1362년 다시 성균관으로 바꿨다. 성균관은 1910년 한일병탄 이후 경학원(經學院)으로 바뀌는 치욕적인 수난을 당했다. 학궁 또는 반궁이라고도 하였다. 이는 주나라 교육기관을 벽옹, 제후국은 반궁이라 부른데서 연유한다.
개성에 있었던 성균관은 1398년(조선 태조 7) 서울(한양(漢陽)으로 이전했다. 성균관의 시설은 임진왜란 때에 모두 불타버리고 1601년(선조 34)부터 6년에 걸쳐 복구했다.
소도(蘇塗) 자리에는 유학(游學)을 강의하는 명륜당(明倫堂)과 공자 및 중국과 조선의 역대 성현들의 문묘가 자리를 잡았다. 교과 과정은 사서오경을 구재(九齋)로 나누어 가르쳤으며, 그 밖에 과문의 제술(製述)도 부과했고, 제사(諸史)도 독서하였다. 그러나 노장, 불경-잡류(雜流) 백가자집(百家子集)은 읽지 못하도록 하였다. 태학지(太學志)3)에 따르면 유생들은 매월 초 1일 관대(冠帶)를 갖추고 문묘에 나아가 4배례를 행한다고 했다. 열 두 명산에 자리했던 소도4)에는 서원(書院), 향교(鄕校)라는 이름이 자리했다.

조의선인(皂衣仙人)의 후예
육예(六藝)를 연마, 문, 무를 겸전하고 삼신일체5)의 도를 일깨웠던 국자랑들은 일체감을 위해 검은 옷 조의(皁衣)를 입고 수련을 한 것으로 파악된다. 고구려가 ‘조의‘라는 관직명을 두었음을 볼 때 경당의 사상과 정신을 계승, 발전시킨 것으로 보인다. 단군조선의 국자랑 육영 전통은 고구려의 ‘조의선인’으로, 신라의 ‘화랑‘으로 계승된 것으로 보인다.
이 제도는 몽골의 억압과 전란, 혼란 중에서도 고려가 그 제도를 유지한 체 이어져 내려 온 정황이 나타난다. 바로 행촌 이암이 1358년 수문하시중을 지내고 이듬해 서북면병마도원수가 되어 구국일념으로 전장에 참여한 사실이다. 이는 경당의 교육 이넘인 문무겸전이었고, 조의선인의 정신이었으며 행촌이 후세에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였을 것이다.
행촌이 단군세기 서문에 일개 대신의 능력으로는 나라를 구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없으나, 바로 나라 안의 모든 사람들이 누구나 다 스스로 나라를 구할 것을 다짐하고, 그 할 바를 찾을 때에 나라를 구하는 일에 도움이 되는 것이고, 그런 후에야 비로소 나라를 구한다는 말을 할 수 있을 것이다라 하여 경당의 정신을 강조했다.
신생 조선은 고조선을 단절하고자 사대에 야합하고 수구권자와 그 세력들에 의해 경당의 기본이념은 사라졌다. 이들이 조의선인을 백정으로 추락시킨 배경은 무엇이었는가? 우선 사료의 기록으로 그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통전(通典)6)에 기록된 고구려의 관직명을 보자.
‘고구려는 나라의 관직을 설치함에 9등급이 있다. 첫 번째는 토졸(吐捽)로, 예전 이름은 대대로(大對盧)이며 국사를 총괄한다. 그 다음은 태대형(太大兄)이다. 그 다음은 울절(鬱折)7)로, 중국말로 주부(主簿)이다.
그 다음은 태대사자이다. 그다음은 조의두대형으로, 동이(東夷)들이 서로 전하기를, ”이른 바 조의선인(皂衣先人) 이란 것이다.”라고 한다. 이상의 다섯 관등은 기밀문서를 관장하고 정사를 모의하며, 병마를 징발하고 관원을 뽑는 일을 관장한다.8)”하여 조의두대형(皁衣頭大兄), 즉 조의선인이라 했다. ‘선배(先輩)는 이두자로 선인(先人), 선인(仙人)이라 쓴 것으로써 선(先)과 선(仙)은 ‘선비’의 선의 음을 취한 것으로 본다.
후한서에는 그 관직 설치에 상가(相加)• 대로(對盧) 패자(沛者) 고추대가(古鄒大加) 주부(主簿) 우태(右台) 사자(使者) 조의(皂衣) 선인(先人)의 9등이 있다.9)하였고, 신당서 또한 같은 기록을 남겼다.

글|한문수


1) 국자감은 고려시대의 국립대학에 해당하는 교육기관이다. 그러나 창설 연대가 분명하지 않다. 992년(성종 : 11)에 국자감을 창건하라는 성종의 지시가 전하고 있지만 이를 근거로 992년에 국자감이 처음 설립됐다고는 단정하기는 어렵다 한다. 국자감은 1275년(충렬왕 1)에 국학으로 개칭되었다가 1298년(충렬왕24)에 충선왕이 즉위하여 성균감(成均監)으로 바꾸었고, 1308년(충렬왕 34)에 충선왕이 다시 즉위하여 성균관으로 개칭했다.
2) 고려 말과 조선시대의 최고 교육기관인 태학(太學)의 명칭. 학궁(學宮) 또는 반궁(泮宮)이라고도 하였다. 주례(周禮)에 의하면 ‘성균‘은 오제(五帝)의 학(學) 가운데 남쪽에 있었던 것이며 음악으로 교육적 성과를 내기 위해 대사악(大司樂)이 그 성균지법(成均之法)을 맡았다고 한다. 여기에서 성균은 음악의 조율(調律)을 맞춘다는 말로서, 즉 어그러짐을 바로 잡아 이루고, 과불급(過不及)을 고르게 한다는 뜻이다.-성균관( http://www.skk.or,kr/) 역사 참조
3) 태학지는 1785년(정조 9) 성규관대사성 민종현이 왕명에 의해 편찬한 성균관의 제도, 교과. 학생 생활 등에 관한 내용을 기록한 책이다.

4) <소도경전 본훈>에서 소도라는 것은 (아사달에 있는)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제터를 소도라고 한다. 즉, 거기에서 배우고 공부하던 경전이란 뜻으로 이 소도경전본에는 우리 고유의 종교, 문화, 철학, 사상 등이 담겨 있는 중요한 기록들이다.소도(蘇塗)는 국선(國仙)이 하늘에 제(祭)를 올리는 신성(神聖)지역이다. 단군천왕이 직접 제를 올리는 곳이기도 하다. 소도는 신성지역임을 나타내는 솟대로써 표시하는 곳이 된다. 즉, 소도와 솟대는 원래 같은 어원에서 나온 말이 될 것이다.
5) 천지인(天地人)은 만물을 주재하는 요소로 하늘, 땅, 사람을 뜻하는 삼재(三才)라고 하며 우주를 구성하는 삼원(三元)인 하늘과 땅과 사람이라고도 한다. 즉 우주를 구성하는 주요한 요소인 하늘( ․ ), 땅(ㅡ), 사람(ㅣ)을 나타내고 있다.
6) 통전(通典)은 당나라의 두우(735~812)가 상고시대부터 당나라 현종 때까지의 제도를 9개의 부분으로 분류하여 기술하였다. 766년에 착수하여 30여 년에 걸쳐 초고가 완성되었으며, 전 200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7) 신당서에 울절은 호적과 장부를 관장한다.” 하였다.
8) 해동역사 제30권 관씨지(管氏志)1 관제(官制) 1
9) 동사강목 제1하.

Share:

Facebook
Twi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