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cture of 허일구
허일구

말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우리가 쓰고 있는 말의 근원이 궁금할 때는 옛말이나 어원을 찾아 그 뜻을 알아본다. 그러면 그 옛말이나 어원을 이루는 말들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그러나 말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알 수 있는 문헌이나 참고할 자료가 없다.

말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를 굳이 추측해 보면 옛 사람들이 그냥, 어쩌다 쓰던 말들이 다른 사람들이 따라하게 되고 그 말들이 점점 많아져서 말이 됐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말에는 그냥, 어쩌다 만들었다고 생각하기에는 의문이 드는 부분이 있다. 우리말의 홀소리에서 ‘아’는 ‘어’보다 작은 뜻을 나타내고 ‘오’는 ‘우’보다 작은 뜻을 나타낸다. 특히 의성어 의태어에서 잘 나타나있다. 만약 말이 그냥 어쩌다 무턱대고 만들어졌다면 ‘아’가 ‘어’보다 큰 뜻을 나타내는 말도 있고 ‘오’가 ‘우’보다 큰 뜻을 나타내는 말도 있어 뒤죽박죽됐을 텐데 우리말에서는 예외가 없다. 우리말에서 ‘아’는 사물이나 생물의 작은 상태를 나타내는데 쓰였다. 강아지, 송아지, 병아리, 항아리, 씨앗, 알, 아기, 아이 따위에서 볼 수 있다. 여기에서 ‘아’는 작은 상태의 사물 또는 어떤 생물이 성장하기 이전 처음 상태의 사물이라는 뜻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상대적으로 ‘어’는 큰 상태의 사물 또는 성장한 상태의 사물이라는 뜻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사물이나 생물이 커지거나 성장하려면 다른 사물이나 물질을 흡수하거나 합하여 져야한다. ‘어’는 사물이나 생물이 다른 사물이나 물질을 흡수하거나 합해지는 상태 또는 합해진 상태의 뜻을 생각해볼 수 있다.

몇 몇 낱말의 뜻으로 낱소리의 뜻을 판단할 수는 없다. 낱소리의 뜻을 제대로 알아보려면 그 낱소리가 쓰이는 모든 우리말의 낱말에서 그 뜻을 찾아봐야 한다. ‘아’의 뜻을 찾으려면 ‘아’가 쓰여 지는 순우리말을 모두 모아 ‘아’가 나티내는 공통의 뜻이 있는지 찾아보고 공통의 뜻이 있다면 그 뜻이 낱소리 ‘아’의 뜻이라 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우리말의 홀소리와 닿소리의 뜻을 찾아볼 수 있다.

우리말 낱소리의 뜻을 찾으려면 말이 시작됐을 그 때의 옛말에서 그 뜻을 찾아야 한다. 말은 세월이 흐르고 시대가 바뀌면서 끊임없이 변한다. 세종이 훈민정음을 집대성할 때의 말만 하더라도 다른 나라말처럼 알아보기 어려운데 수천 년일지 수 만년일지 아니면 그보다 더 오래된 옛말을 알 수는 없다. 그러나 우리말에는 말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의 흔적을 알 수 있는 말들이 있을 것이다 현재 우리가 쓰는 순우리말에는 처음의 옛말이 변함없이 그대로 쓰이는 말도 있을 것이며 부분적으로 변하여 그 흔적만 남아있는 말도 있을 것이다. 순우리말이 처음의 옛말과 얼마나 어떻게 다른지 알 수는 없다. 그러나 세종이 훈민정음을 정리할 때의 옛말이 오늘날의 말로 변하는 과정에서 우리말 변화의 단면을 볼 수 있다.

우리말의 처음의 옛말은 알 수 없지만 오늘날 쓰고 있는 순우리말과 세종 때부터 내려온 옛말을 참고로 하여 우리말의 홀소리와 닿소리의 뜻을 살펴보고 그 뜻으로 닿소리와 홀소리가 합쳐진 낱소리의 뜻을 살펴보고 그 낱소리의 뜻으로 낱말의 뜻을 살펴보려 한다.

이미지출처 : 다온폰트 꽃잎 이미지

Ⅳ.낱말의 뜻

낱소리의 뜻을 나름대로 살펴보았다. (된이응)은 뜻이 단순하여 자세히 살펴보지 않았다. 그리고 , , , (아래아)와 같은 옛말은 미처 살펴보지 못했다.

우리말에는 낱소리의 뜻을 짐작해 볼 수 있는 여러 낱말이 있다. 그 중에 하나는 “ㅡ르다”라는 말이다.

ㅡ르다는 여러 낱소리와 합쳐져 낱말이 된다. 예를 들면 가르다, 나르다, 다르다, 마르다, 바르다, 사르다 . 그리고 가르다, 거르다, 고르다, 구르다, 기르다 , 이렇게 비슷한 낱말의 뜻을 찾아서 그 뜻을 차이를 비교하면 낱말의 뜻을 추측 할 수 있고 낱소리의 뜻도 추측해 볼 수 있다.

그렇게 찾아낸 낱소리의 뜻으로 우리말의 낱말을 살펴보려 한다. 그리고 말은 자연을 소리로 나타낸 것이므로 자연을 통하여 우리말의 뜻을 살펴보고 우리말을 통하여 자연을 살펴보려한다.

가르다

1.쪼개거나 나누어서 따로 되게 하다.

가르다=가+ㄹ+으+다

가: 하나의 사물

라: 같은 변화의 연속적 반복

으: 사물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강한 힘(힘은 사물 내부의 힘일 수도 있고 외부의 힘일 수도 있다.)

다: 종결어미

가르다=가 +가 +가 +……………+가 으 으 으 으로 풀어쓸 수 있다.

가르다는 하나의 사물이 힘에 의하여 나누어지는 상태를 나타낸다. 사물이 나누어질 때 한꺼번에 이루어지지 않고 연속적으로 반복해서 이루어지므로 가+가+가+……+가 가 되고 줄여 쓰면 “가르”가 되고 종결어미가 붙어 “가르다” 가된다. 그리고 완전히 나누지면

가+가+가+. . . . . . +가=갈 “ㄹ”이 받침이 되어 “갈”이 된다.

우리말에서 “ㄹ”이 받침으로 붙은 말은 연속적인 반복에 의하여 이루어진 사물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말이 된다. 그리고 사물의 상태나 가하여 지는 힘에 따라 ―르다는 ―ㄹ다, ―라다, ―러다, ―로다, ―루다, ―리다 로 쓰여 진다.

거르다

1.찌꺼기나 건더기가 있는 액체를 체나 거름종이 따위 따위에 받쳐서 액체만 받아낸다.

2. 차례대로 나아가다가 중간에 어느 순서나 자리를 빼고 넘기다.

거는 가가 다른 가와 만나는 상태 또는 상태를 나타낸다. 1에서 거르다는 하나의 사물 가 따로 되어 상태가된 것을 나타낸다. 2에서 거르다는 하나의 사물에서 물질의 한 부분을 걸러내게 되면 걸러낸 물질은 없는 상태가 된다.

고르다

1.여럿 중에서 가려내거나 뽑다.

2.울퉁불퉁한 것을 평평하게 하거나 들쭉날쭉한 것을 가지런하게 하 다.

3-1.여럿이 다 높낮이, 크기, 양 따위의 차이가 없이 한결같다.

3-2.상태가 정상적으로 순조롭다.

고는 가의 작은 상태를 나타내다.

고르다는 사물 가의 차이가 작은 상태 또는 작아지는 상태가 연속으로 반복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다.

구르다

1-1.바퀴처럼 돌면서 옮겨가다.

1-2.어떤 장소에서 누워서 뒹굴다.

2-1.[….을] 자리에서 발로 바닥을 힘주어 치다.

2-2.그네 발판 따위에 몸무게를 실어 힘껏 누르다. 는 “가”가 많이 모이거나 “다”가 많이 들어와 가득 찬 상태, 그리고 그 힘이 겉 부분이 미쳐 겉 부분이 두드러져 나타나는 상태를 나타낸다.

1-1,1-2에서 구르다는 사물의 겉 부분이 땅이나 어느 한 지점에 닿 아 있을 때 닿아 있는 사물의 겉 부분이 연속적으로 바뀌는 상태를 나타낸다. 2-1, 2-2에서 구르다는 한 사물 “가”가 다른 사물에 자신의 모든 힘을 연속으로 가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그르다

1-1.어떤 일이나 형편이 잘못되다.

1-2.어떤 일이 사리에 맞지 아니한 면이 있다.

그는 사물 가를 이루는 물질이나 힘이 남은 상태를 나타낸다.

그르다는 사물 를 이루는 물질이나 힘이 남아 상태나 형태를 변화시키게 되어 처음과 달라진 상태를 나타낸다.

기르다

1.동식물을 보살펴 자라게 하다.

2.아이를 보살펴 키우다.

3.사람을 가르쳐 키우다.

4.육체나 정신을 단련하여 더 강하게 만들다.

5.습관 따위를 몸에 익게 하다.

6.머리카락이나 수염 따위를 깍지 않고 길게 자라게 하다.

는 사물가 다른 사물이나 물질과 결합하여 쉽게 분리되지 않는 완전한 사물이 된 상태를 나타낸다.

기르다는 사물 가 다른 사물이나 물질과 만나 연속으로 반복해서 합쳐져 길이로 커지는 상태를 나타낸다.

사물이 다른 사물과 합쳐지는 상태를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사물에 있는 물질의 붙는 성질에 의하여 서로 붙어서 합쳐지는 경우와 다른 하나는 고리상태의 물질이 서로 걸어서 합쳐지는 경우가 있다.

사물이 붙어서 합쳐진 경우에는 사물의 부피가 커지고 붙을 때의 힘만큼 쓰면 다시 떨어지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사물이 고리로 걸어서 합쳐진 경우에는 길이가 길어지게 되고 걸 때의 힘만으로 다시 떨어지게 할 수 없다. 그르므로 는 쉽게 변화하지 않는 완전한 상태의 사물이 된다.

나르다

1.물건을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옮기다

2.(날다) 공중에 떠서 어떤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움직이다

나르다 = 나+ㄹ+으+다

=나+나+나+. . . . . . . . +나

으 으 으 으

나: 지정된 사물 “” 밖의 모든 사물과 물질과 공간을 나타낸다.

나르다 에서 ““는 공간을 나타내는 말이 되고 나르다는 사물이 공간에서 연속으로 위치가 변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다르다

1.비교가 되는 두 대상이 서로 같지 아니하다.

2.보통의 것보다 두드러진 데가 있다.

다르다: 다+ㄹ+으+다

다: 사물에 드나드는 물질, 열 또는 에너지물질

“가 들어갈 때: 다르다=+다+다+다+. . . . . . . .+다

“가 나올 때 다르다=-다-다-다-…..-다

사물에 ““가 들어가면 내부 물질의 압력이 높아지고 크기가 커지고 성질이 활성화되고 힘이 세진 상태가 된다. ““가 빠져나오면 그 반대의 상태가 된다.

사물에서 ““가 들어오거나 나가게 되면 처음의 상태와 같지 않은 상태가 된다.

다르다는 사물의 본성은 그대로인 채 에 의하여 형태나 상태가 변한 상태를 나타낸다.

마르다

1.물기가 다 날아가서 없어지다

2.입이나 목구멍에 물기가 없어 갈증이 나다.

3.살이 빠져 야위다.

4.옷감이나 재목 따위의 재료를 치수에 맞게 자르다

마르다=마+ㄹ+으+다

=마+마+마+. . . . . . , . +마

으 으 으 으

<계속>

허일구
Latest posts by 허일구 (see all)

Share:

Facebook
Twitter